과제를 제출하기 위해 pull request를 몇 차례 한 경험이 있다.
But, 오랜만에 다시 시도하니 순서와 명령어가 헷갈렸다.
각 과정의 상세한 설명 보다는 나에게 필요한 GitHub 에서 포크하고 풀리퀘스트 하는 과정만 정리해본다.
작업 순서대로
Git 설치
https://git-scm.com/download/mac
에서 설치한다. (mac 기준) 설치된 후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줄에 버전이 표시됨.
% git --version
git version 2.23.0
GitHub에서
1. 해당 프로젝트를 Fork
2. 자신의 GitHub Profile > Repository로 돌아가서 Fork 된 프로젝트가 생성된 것을 확인후
Clone or download 버튼 눌러 Clone with HTTPS로 URL 복사
Terminal에서
1. 자신의 로컬 환경에서 Clone할 폴더 생성 후 terminal 열기
- mac: terminal(추천)
- windows: git bash(추천), powershell..
//로컬에 클론하기
$ git clone http://github.com/<user_name>/<repository_name>.git
2. 수정작업 완료 후 파일이 변경사항 확인 및 커밋하기
//어떤 파일들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하기
$ git status
//변경한 코드 리뷰하고 확인하기
$ git diff
//커밋을 원하는 파일을 추가하기
$ git add src/underbar.js(modifued 파일명)
//추가된 파일이 해당 파일이 맞는지 다시 확인하기
$ git status
//변경된 내용을 작성해 커밋하기
$ git commit -m "버그 수정 완료 블라블라"
3. 수정 내역을 origin에 push 하기
//수정 내역을 origin 으로 푸시하기
//e.g. git push origin master
$ git push origin <branch>
다시 GitHub에서
1. 본인이 push한 repository에 업데이트 된 내역을 확인
2. New Pull Request 하기
끝.
'Coding > TIL (Today I Learned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pm, Package.json (0) | 2019.11.29 |
---|---|
Javascript runtime, Node.js, NVM (0) | 2019.11.28 |
[Reference] 현직 개발자들의 이야기 (0) | 2019.11.27 |
JavaScript 얕은 복사 vs 깊은 복사 (0) | 2019.11.18 |
JavaScript ES5 와 ES6 달라진 점 01 (0) | 2019.11.16 |